가을 타는 증상, 계절성 우울증 일 수 있습니다.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면 ‘가을 타나?’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가을 탄다는 것은 햇빛에 대한 노출 감소로 발생하는 계절성 우울증 일 수 있습니다. 가을 타는 증상, 계절성 우울증 관련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겪는 모습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특정 시기나 계절이 바뀔 때 종종 나타나는 우울증의 한 형태의 기분 장애입니다. 무기력, 불안감, 우울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SAD)은 우울증의 하위 유형 중 하나의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을과 겨울에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봄, 여름에도 계절성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은 햇빛과 관련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특히 기분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의 수치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원인

생체 리듬 변화: 계절의 변화에 따라 햇빛의 일조량이 변화하여 사람들의 생체 리듬이 변화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로토닌 수치 변화: 햇빛은 인체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세로토닌 호르몬 분비 촉진에 영향을 주며, 햇빛을 적게 받을 수록 수치는 낮아지게 됩니다.

멜라토닌 수치 변화: 햇빛을 받는 시간이 적어지고, 밤이 길어지면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호르몬 수치의 감소로 숙면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유전적 요인: 가족 간의 유전적 요인으로 계절성 우울증을 심하게 겪을 수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자가 진단

계속되는 피로 무기력함을 느끼는 경우

갑자기 기분이 우울하거나 슬퍼지며, 때론 너무 민감해지는 경우

사람들과의 만남이 이유 없이 싫어지는 경우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고 끊임 없이 탄수화물이 먹고 싶거나 체중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

일에 대한 집중력 저하를 심하게 느끼는 경우

불면증 혹은 너무 과도하게 잠을 자는 경우

부정적인 생각을 자주 하게 되는 경우

꾸준히 흥미를 가지고 해오던 일이 어느 날 너무 싫어지는 경우


취약 집단

여성이 남성보다 계절성 우울증을 겪을 확률이 높습니다.

젊은 사람이 상대적으로 계절성 우울증을 경험할 확률이 높으며, 가족력이 있는 사람도 경험할 확률이 높습니다.

적도에서 멀리 떨어져 생활하는 지역 사람들도 계절성 우울증을 겪을 확률이 높습니다.


완화 방법

광선 요법이라는 햇빛을 대신한 인공 광선에 노출 시켜 기분 조절과 우울증 증상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비타민 D가 포함 된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여 증상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우울증 해소의 최고의 방법입니다. 엔돌핀 수치를 높여 주며, 삶에 더 나은 활력을 불어 넣어 줍니다.

우울함을 느낄 수록 다양한 사람을 만나는 사회 활동을 통해 고립된 마음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정신과를 방문하여 적절한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가을 타는 증상, 계절성 우울증 마치며

계절성 우울증은 계절이 변화하면서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질환이지만, 올바른 식습관 유지와 생활 습관 유지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자신의 증상을 인식하였다면, 생활 방식을 개선하거나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을 타는 증상, 계절성 우울증 모두가 극복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