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이라고 하면 주민등록번호만 생각할 수 있지만, 최근 늘어나는 해외 직구로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으며, 주민등록번호 도용보다 신고 사례가 더욱 늘어나는 추세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 예방
검색창에 ‘개인통관고유부호’를 검색하면 ‘관세청 개인통관고유부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본인인증 후 ‘조회’로 들어가신 후 ‘수정’ 버튼을 누르고 ‘사용 여부’ 선택 칸에서 ‘사용정지’나 ‘재발급’을 선택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사용 여부
해외직구를 하지 않을 땐 ‘사용정지’를 선택해 두시고, 자주 사용하신다면 ‘재발급’을 누르면 바로 새로운 번호로 바뀌어 이전에 도용된 번호가 있다면 바로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도용 여부 확인
혹시 본인도 모르게 도용된 사례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처음 화면에서 오른쪽 위의 메뉴를 선택해 ‘해외직구통관내역조회’에서 기간을 선택해 고유번호가 사용된 명세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비서
본인의 고유번호가 사용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방법도 있습니다. 검색창에 ‘국민비서‘를 검색 후 간단한 본인인증을 거친 후 ‘알림 설정’에서 ‘민원처리’ 항목 중 ‘전자상거래 물품통관내역’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알림 설정을 해두면 본인이 알림을 받기로 선택한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사용 내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도용 신고
관세청 홈페이지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신고‘를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 이때 개인통관고유부호와 제품의 B/L 번호를 같이 입력하여 신고하면 담당 부서에서 확인 후 처리가 진행됩니다.
만약 도용되었다면 앞서 설명해 드린 방법대로 재발급을 받으시거나, 사용정지로 사용 여부를 변경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