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레이드 출범

한국거래소의 70년 독점 체제를 깰 국내 첫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NXT)가 3월 4일 출범하여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하루 12시간 투자 시대가 개막했는데, 수수료 인하와 다양한 호가 방식이 도입돼 주식 투자자들의 편의성도 높아질 전망입니다.


넥스트레이드

대체거래소 등장으로 국내 증시에서는 오전 8시부터 8시 50분까지의 프리마켓, 오후 3시 30분부터 8시까지 애프터마켓이 생겼으며, 투자자는 삼성, 미래에셋 등 주요 증권사를 통해 오후 8시까지 국내 주식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거래 시간은 종전 총 6시간 30분(오전 9시~오후 3시 30분・KRX 기준)에서 12시간(오전 8시~오후 8시・NXT 기준)으로 5시간 30분 늘어났습니다. 다만 대체거래소의 거래 종목은 KRX의 시간 외 단일가 시장(오후 4~6시) 매매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불공정 거래, 시세 조정 등을 방지하자는 취지입니다.

☛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ATS) : 전통적인 증권거래소 이외의 장소에서 주식, 채권, 펀드 등 금융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자 거래 플랫폼으로, 기존 증권거래소에 비해 간편한 구조와 낮은 비용, 빠른 처리 속도를 주로 제공합니다.


호가 방식 다양화

NXT는 호가 방식을 다양화 했는데, ‘중간가 호가’와 ‘스톱지정가 호가’ 같은 새로운 주문 유형이 생겼습니다. 중간가 호가는 최우선 매수・매도 호가의 중간 가격으로 주문이 들어가는 방식입니다.

가령 삼성전자의 매수・매도 호가 중 가장 비싼 5만 5000원과 가장 저렴한 5만 4000원의 중간값인 5만 4500원이 적정 가격으로 책정됩니다. 스톱지정가는 투자자가 사전에 설정한 가격에 시장 가격이 도달하면 지정가로 주문이 이뤄지는 식으로, 투자자는 손절매・분할매수 전략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거래 방법・수수료

투자자가 NXT에서 거래하기 위해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필요는 없습니다. 기존에 참여하던 증권사 앱에서 수수료 등을 비교한 뒤 원하는 곳을 선택하면 되는데, 딱히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나동 주문전송시스템(SOR)이 적용됩니다.

수수료는 한국거래소(KRX) 대비 20~40% 저렴하며, NXT는 4월 30일까지 모든 거래 수수료를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안정장치・결제 방식

가격 변동 폭(±30%)과 거래 정지,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등 시장 안정장치는 KRX와 똑같으며, NXT 역시 거래일로부터 이틀 후(T+2)에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주요 공시가 NXT의 애프터마켓 시간 대에 나오면 해당 종목 거래가 중단될 수 있는데, KRX의 공시 확인 후 NXT가 거래 재개 여부를 판단합니다. 변동성 완화 장치(VI)가 발동되면 KRX는 2분간 단일가 매매로 바뀌고, NXT 거래는 2분간 정지되며, 투자자 화면에는 주문할 수 있는 거래소의 시세가 표출됩니다.


종목

SOR은 증권사가 가격, 비용, 체결 가능성 등을 고려해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배분해 줍니다. ATS측은 우선 롯데쇼핑, 제일기획, 코오롱인더, LG유플러스, 에쓰오일, 골프존, 동국제약, 에스에프에이,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컴투스 등 10개 우량주부터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3월 17일부터는 100개 종목을 더해 110개 종목, 3월 24일에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을 합쳐 350개 종목, 4월 31일부터는 거래 종목을 800개로 확대합니다.

NXT와 KRX 복수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는 종목은 바뀔 수 있으며, 매 분기 말 5거래일 전에 NXT 거래 종목을 발표할 예정으로, 차기 800개 종목은 6월 23일 공개돼 7월 1일 거래부터 반영됩니다.


ETF

상장지수펀드(ETF) 등의 NXT 거래는 관련 법령 개정 등을 거쳐야 해서 연말에나 가능할 전망이며, 공매도는 NXT의 프리・애프터마켓에서 금지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