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 꽃말 및 열매 맺는 시기 알아볼게요.

클레오파트라가 사랑했던 과일이어서 여왕의 과일로 불리는 무화과는 남성들의 스테미나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여성들의 피부 미용에 좋고, 저칼로리 과일로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는 무화과 꽃말 및 열매 맺는 시기 알아볼게요.

무화과 열매 사진


무화과 꽃말

무화과 꽃말은 ‘풍부’, ‘다산’, ‘풍요한 결실’, ‘열심’ 입니다. 무화과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시면, 왜 무화과의 꽃말이 풍부, 다산, 풍요한 결실을 의미하는 지 아실 수 있습니다.


무화과

무화과(無花果)의 이름은 ‘꽃이 없는 열매’라는 의미를 가졌습니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꽃의 수정의 결과로 만들어 진다고 알고 있는데, 무화과는 특이하게도 꽃이 없는데 열매가 있습니다.

사실, ‘무화과’는 꽃이 없는 게 아닙니다. 단지 숨어 있습니다. 그래서 무화과를 은화과(隱花果)라고도 부르며 ‘꽃이 숨은 열매’라는 뜻으로 불립니다.

무화과의 꽃은 우리가 항상 먹는 무화과 그 자체가 꽃이며 열매입니다. 열매의 껍질이 꽃 받침 역할을 하는 것이며 무화과 내부에 있는 붉은 것이 꽃이며 작은 알갱이가 무화과 씨입니다.

그리고 무화과를 한 입 베어 물면 나오면 달콤한 과즙은 무화과 꽃의 꿀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식물도감에는 무화과를 ‘꽃주머니’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무화과 자체는 ‘꽃주머니’라는 표현이 좀 더 어울립니다.


무화과(Fig Tree) 영문 표현 유래

무화과는 천지가 창조 될 때부터 존재했던 과일입니다. 구약 성경 창세기 3장 6절, 7절에 보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열매를 따먹지 말라”는 하느님의 말씀을 어기고 뱀의 유혹으로 에덴동산에 있는 선악과를 따먹은 남자와 여자는 알몸인 것을 알고 부끄러워 무화과나무 잎으로 치부를 가렸다.

무화과나무 잎은 인류 최초의 의복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영문 표현인 Fig Tree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Fig’ 단어에 ‘의복’이라는 뜻이 있기에 무화과나무는 ‘Fig Tree’가 되었습니다. 그 외에 구약 성경, 신약 성경에서도 무화과나무는 자주 언급 되고 있습니다.


열매 맺는 시기

무화과는 꽃의 종류, 수분, 수정, 결실 습성에 따라 4가지 타입으로 분류됩니다.

  • 카프리형
  • 스미루나형
  • 보통형
  • 산페드로형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수분, 수정이 필요 없고(단위 결실), 가을에 익는 열매(추과)의 품질이 좋은 보통형 타입을 평균기온 14.5도 이상인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습니다.

보통형 타입의 무화과도 품종에 따라 열매 맺는 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 하과, 추과 겸용: 승정도우핀, 화이트제노아, 브라운터키, 롱두트
  • 하과 전용: 비오레도우핀
  • 추과 전용: 봉래시(가장 오래 된 품종)

무화과는 6월 말 ~ 7월 초에 수확하는 하과(夏課), 8월 말 ~ 9월 초에 수확하는 추과(秋果)가 있습니다. 하과는 지난해 가지에서 자라는 열매을 뜻하고, 추과는 새로 자라난 가지에서 자라는 열매를 뜻합니다.

하과 열매 맺는 시기 즉, 발아는 대략 4월 초 ~ 5월 중순이 열매 맺는 시기입니다. 추과 열매 맺는 시기 즉, 발아는 대략 6월 중순 ~ 7월 초가 열매 맺는 시기입니다. 참고로 무화과는 열매가 돋아나기 시작하면 대략 85일 ~ 90일 정도면 수확 할 수 있습니다.


꽃말 및 열매 맺는 시기 마치며

무화과는 별도의 수정 과정이 필요 없어서 집에서도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외부에서 키운다면 추과 전용 품종으로 키우는 것이 낫습니다. 하과 수확 시기에 장마를 만나면 열매가 쉽게 상할 수 있어 외부에서 키우실 땐 추과 전용 품종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집 안에서 키우실 때 하추 겸용 무화과를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무화과는 특히 추위에 약한 나무입니다. 발아, 열매 맺는 시기에는 온도를 15도 이상 정도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추과 전용, 하추 겸용 품종 심으시고, 무화과 꽃말처럼 풍성한 결실 맺으셔서 맛있는 열매 즐기시기를 바랍니다.

블로그 더 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