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등산코스 초보 일 경우 선택에 대한 문제가 발생 할 정도로 북한산은 다양한 등산코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1983년 4월 국립공원으로 지정 된 후 매 년 수만명이 찾고 있는 북한산의 등산코스와 북한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북한산 등산코스 초보 일 경우
‘북한산 등산코스’ 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북한산 어느 곳에서 오르더라도 주능선에서 만나게 됩니다. 그 중에 가장 많은 사람이 찾고 있으며, 난이도가 높지 않는 코스는 단연 우이동 코스라 할 수 있습니다.
우이동 매표소에서 시작하는 등산코스는 도선사 광장을 지나 하루재를 거쳐 백운문(‘위문’이라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을 통해 백운대에 오르는 등산코스입니다.
“멀쩡한 우리 이름을 버리고 위문을 쓰고 있는 것은 독도를 죽도라 부르는 일처럼 매국 행위다.”
2004년 11월 23일 최종 업데이트 뉴스 중에서 발췌
김남용 시민 기자
북한산 등산코스 초보 추천 코스
- 우이동 매표소 (40분) 도선사 광장 (30분) 하루재 (45분) 백운산장 (20분) 백운문(백운봉암문) (15분) 백운대 (10분) 백운문 (30분) 용암문 (20분) 태고사 (40분) 대서문 (20분) 진관동 북한산성 매표소
총 시간은 대략 4시간 30분 정도의 등산코스입니다.
등산객이 자주 찾는 등산코스
- 종로구 구기동 매표소 – 이북 5 도청 – 금선사 – 향로봉 – 비봉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 종로구 구기동 매표소 : 대략 4시간 20분 등산코스
- 효자동 북한산성 매표소 – 백운문 – 용암문 – 대동문 – 대성문 – 대남문 – 가사당암문 – 진관동 북한산성 매표소 : 대략 7시간 등산코스
북한산 지하철 및 버스 이용 방법
북한산이 수도권에 위치한 만큼 지하철 및 버스로 이동하는 방법이 가장 편리합니다.
우이동 매표소
지하철 4호선 수유역 하차 – 101번 버스, 1217번 버스 이용
북악터널 방향 이용 시
지하철 4호선 길음역 하차 – 7211번 상차 – 국민대 하차 – 도보 이동
구기동 매표소
지하철 3호선, 6호선 불광역 하차 – 7022번 버스, 7211번 버스 이용
북한산성 매표소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704번 버스 이용
자동차 이용 시
북한산 방문으로 자동차를 갖고 이동하신다면,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에서 의정부 IC 통과하여 서울 방면 3번 국도를 이용하거나, 송추 IC 통과하여 서울 방면 39번 지방도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북한산은 많은 사람들이 찾는 만큼 자동차 이동은 가급적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100대 명산 북한산
북한산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강북구, 서대문구, 종로구, 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에 걸쳐 있는 100대 명산 중 하나로 도봉산 일대를 포함하여 1983년 4월 2일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산높이는 835.6m이며, 백운대, 만경대, 인수봉 세 봉우리가 나란히 솟아 있어 ‘삼각산’이라고도 불렸습니다. 북한산은 산세가 험하고, 경사가 심한 암벽이 많아서 암벽 등산가들도 자주 찾는 산으로 특히, 인수봉은 주말에 암벽에 사람이 너무 많이 붙어 있어 검게 보일 지경이라고 합니다.
100대 명산 선정 이유
- 주봉인 백운대를 중심으로 인수봉, 만경대 등 봉우리의 경관이 수려한 점
- 수도권 시민들의 좋은 휴식처를 제공하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점
- 정릉계곡, 구천계곡, 소귀천계곡, 육모정계곡, 효자리계곡 등 유명한 자연 경관을 지닌 점
- 도선사, 태고사, 화계사 등 30여개 사찰이 위치하고 있는 점
- 1711년에 축조된 8km 길이의 북한산성 존재
- 수많은 유물 및 유적지 존재 이유
북한산 유물 및 유적지
- 중흥사지
-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태고사 원증국사탑
중흥사지
- 북한산 노적봉 아래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보우가 중수(새롭게 고치다)하였다고 전해지는 중흥사가 있었던 사찰터가 존재합니다.
- 사찰터는 현재 건물은 존재하지 않고 있어 ‘중흥사지’로 불리우며, 1992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 중훙사지는 생각보다 규모가 큽니다. 조선시대 양란을 겪은 후 북한산성을 완성하고 대대적인 축성으로 30여 칸의 소규모 사찰을 136칸의 대규모 증축이 이뤄졌습니다.
- 북한산성 내에는 11개의 사찰이 더 존재하였는데, 중흥사는 11개의 사찰의 관리하는 대규모 사찰이 되었습니다.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1972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동하였고, 현재 비봉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모조품입니다.
- 1962년 대한민국 국보 지정되었습니다.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 북한산 중턱 승가사 뒷편 바위에 새겨져 있는 높이 5.94m의 좌상입니다.
- 1963년 대한민국 보물 지정되었습니다.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1385년 건립된 원증국사 보우의 탑비입니다.
- 1977년 대한민국 보물 지정되었습니다.

태고사 원증국사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태고사에 있는 고려 승려 원증국사 보우의 유골을 봉안하고 있는 높이 4.0m 불탑으로 무너져 있던 탑을 복원하였습니다.
- 1983년 대한민국 보물 지정되었습니다.

시민들의 훌륭한 휴식처를 제공하는 북한산
북한산은 산세가 험하고 계곡이 많지만, 그만큼 산림도 풍성하고 물이 많아 사람들이 야영지도 많이 찾기도 합니다. 북한산장, 우이산장, 도봉산장, 백운산장 등 많은 휴식처도 제공하고 있어, 북한산 등산코스 초보 산행객들도 휴식을 취하며 등산을 즐길 수 있습니다.
경사가 심한 암벽들은 암벽 등반가들의 훌륭한 놀이터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계곡에 유원지가 형성되어 시민들이 더욱 많이 찾는 산이 북한산입니다.
북한산 국립공원 기네스북
- 북한산은 1983년 4월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울창한 산림 환경과 다양한 야영지와 계곡 그리고 다양한 유원지가 존재하고 있어 등산 성수기 시절인 봄, 가을 주말 및 공휴일에는 수만명의 사람이 찾고 있습니다.
- 이렇게 수만명이 매년 찾다 보니 1994년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는 국립공원’으로 기네스북에 올랐습니다.
북한산 등산코스 및 북한산 소개 마치며
지금까지 북한산 등산코스 초보 일 경우에 추천 루트와 등산코스 및 북한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즐거운 산행, 안전한 산행 즐기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