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블록스 스튜디오 이용 시 주요 기본 툴의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기능에 익숙해져야 복잡한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탭인 홈, 모델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로블록스 스튜디오 메뉴 바: 홈 탭
‘홈’ 탭은 게임 제작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도구와 여러 편집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객체의 이동, 선택 등의 메뉴는 자주 쓰이는 만큼 ‘모델’ 탭에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택
뷰포트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객체는 테두리가 파란색으로 변합니다. 또, 오브젝트 클릭을 유지한 채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객체도 움직여 집니다.

이동
선택한 객체를 X축(가로), Y축(높이), Z축(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화살표가 생성됩니다. 각 화살표를 선택한 상태로 드래그 시 해당 축을 따라 객체가 이동합니다.
스케일
빨강, 초록, 파랑 점을 선택하여 움직이면 원하는 만큼 객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단, 구(원)의 경우 도형의 특징 때문에 전체의 부피가 늘어납니다.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마우스로만 진행하는 것은 정확한 수치 입력이 어렵습니다. 이럴 경우 객체 선택 후 ‘속성’ 창의 Transform – Size 항목에서 숫자 변경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회전
선택한 객체를 X, Y, Z축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이 표시됩니다. 각 회전축을 클릭한 상태로 움직이면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파트
기본적인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위의 그림에 나오는 ‘구’ 및 ‘블록’은 파트 버튼을 이용하여 생성하였습니다. 파트 버튼을 누르면 블록, 구, 쐐기, 코너 쐐기, 원통 5가지 종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위의 5가지 항목은 로블록스에서는 객체, 오브젝트가 아닌 ‘파트’라고 지칭합니다.

기본 파트는 5가지의 단순한 형태이지만, 캐릭터나 아이템 같은 복잡한 물체를 만들 때는 ‘메시(Mesh)’를 이용합니다.
재질 관리자
선택한 파트를 콘크리트, 직물, 토양, 금속 등의 재질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재질 관리자 버튼을 이용하거나, ‘속성’ 창의 Appearance – Material 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색상
선택한 파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드롭다운 버튼을 선택하면 다양한 색을 선택할 수 있는 팔레트가 제공됩니다.
그룹
파트의 개수가 너무 많을 경우 편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럴 때 여러 개의 파트를 선택 후 그룹 드롭다운 버튼을 누르면 ‘모델로 그룹화 (Ctrl+G)’, ‘폴더로 그룹화 (Ctrl+Alt+G)’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나의 모델로 묶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그룹 해제를 할 경우 해당 모델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그룹화 해제(Ctrl+U)’ 를 선택하여 해제할 수 있습니다. 모델로 그룹화와 폴더로 그룹화는 파트의 선택에 차이가 있습니다. 모델로 그룹화를 진행하면 하나의 모델로 그룹화 됩니다.
폴더로 그룹화를 선택하면 ‘탐색기’ 창에 하나의 폴더로 묶이며, 각 파트는 개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잠금
‘잠금’이 활성화 되면 뷰포트에서는 파트를 마우스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오직 ‘탐색기’ 창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잠금 기능은 맵이나 모델을 만들 때 작업에 방해가 되는 파트가 있을 때 주로 사용됩니다. 잠금 기능을 잘 활용하면 파트를 잘못 옮기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앵커
공중에 떠 있는 파트를 생성하거나, 다수의 파트를 쌓아 뒀을 경우 ‘앵커’로 고정하지 않으면 밑으로 떨어져 버립니다. 즉, ‘앵커’ 기능으로 그 위치에 고정 시켜야 합니다. 빌드를 진행 후에는 반드시 앵커를 해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로블록스 스튜디오 메뉴 바: 모델 탭
‘모델’ 탭을 선택하면 게임 제작에 사용되는 길이 단위인 스터드(Stud) 값으로 파트의 위치 및 모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본 맵인 ‘Baseplate’ 에서 한 칸의 범위는 1 스터드지만, 최소 0.001 스터드부터 0 스터드까지 세밀한 조정이 가능합니다.
스터드 단위로 구성된 좌표(그리드)를 기준으로 선택한 파트의 이동과 변형을 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빌드 작업을 위해서는 스터드 단위를 ‘1, 0.5, 0.25, 0.125’ 등으로 작업하는 것이 낫습니다.
처음 시작 시에는 1 스터드로 시작하며, 익숙해 졌을 경우 점점 더 작은 단위로 세밀한 작업을 하는 것이 낫습니다.

회전
각도 값의 변경으로 파트를 회전 시킬 수 있습니다.
이동
스터드 이동 값을 바꿔서 원하는 만큼 파트를 이동 시킬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 기본 툴 마치며
로블록스 스튜디오 메뉴 바 탭 중 가장 자주 사용하는 홈 탭과 모델 탭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각 기능 별 특징에 익숙해지는 것이 좀 더 복잡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