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드 프로 Crush! 예술가 실직 공포 자극

‘광고의 신’으로 불리던 애플이 AI 개발에 몰두한 나머지 감을 잃은 것일까요? 대중의 취향을 정확히 꿰뚫던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 신제품 출시와 함께 공개된 1분 7초짜리 광고 영상이 SNS 등에서 큰 역풍을 맞고 있습니다.


Crush! 아이패드 프로 애플 광고

‘Crush!’라는 제목의 아이패드 프로 광고는 거대한 압축기 아래 피아노와 물감, 게임기 등 다양한 사물이 놓여 있는 공간이 비치며 시작하고, 1970년대 팝가수 소니 앤드 셰어의 ‘All I ever need is you’ 노래가 시작됨과 동시에 사물 위로 압축 프레스가 내려오기 시작합니다.

피아노, 카메라, 컴퓨터, 트럼펫, 조각상, 게임기 등이 차례로 짓 뭉겨지며, 모든 사물이 뭉개진 뒤에는 아이패드 프로 한 대만 남습니다. 그림, 음악, 영상, 게임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데 아이패드 프로 한 대만 된다는 메시지를 담은 것입니다.


실직 공포

애플의 기대와 달리 여론은 엉뚱한 방향으로 튀었는데, 인공지능(AI) 시대에 일자리를 잃어가는 예술인들은 해당 광고가 ‘실직 공포’를 자극한다고 호소하였고, 애플의 광고는 모든 종류의 예술가를 모욕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영국 배우 ‘휴 그랜트’는 “애플의 이번 광고는 실리콘밸리가 만든 인간 경험의 파괴”라고 지적하며, 광고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던 애플이 이례적인 굴욕을 당한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혁신의 아이콘

애플 광고는 시대를 앞서는 창의성과 세련됨으로 주목받아 왔는데, 애플은 1984년 당시 컴퓨터 시장을 독점하던 IBM을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나오는 ‘빅브라더’로 표현하였습니다.

그리고 매킨토시를 출시한 애플은 이를 파괴하는 저항의 아이콘으로 만든 광고는 미국 내 애플의 인지도를 10%대에서 단숨에 80%로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이번 광고도 그러한 맥락을 이어간 것일까요? 워싱턴포스트는 애플은 Crush! 광고로 아날로그 세계를 이겨 먹은 디지털 승자라는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View More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