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시리즈에 내장형 AI를 탑재하여 출시하였습니다. 내장형 AI는 별도의 인터넷 연결 없이도 기기 자체에서 실행되는 AI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온디바이스 AI 특징과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온디바이스 AI 특징
삼성전자 갤럭시 S24 시리즈에 탑재된 온디바이스 AI를 이용하여 13가지 언어를 실시간 통역하거나, 사진 편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백을 AI가 스스로 채워주는 등 상상만 해오던 일을 스마트폰이 해내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스마트폰에 탑재된 온디바이스 AI 덕분에 가능한 일로 데이터를 별도의 외부 서버로 내보내지 않고 기기 내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특징 때문에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AI 모델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성능 좋은 컴퓨터가 필요하여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가상 서버)에서 수행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이 필요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스마트 기기는 정보 수집을 위한 도구에 불과하였습니다.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온디바이스 AI는 기존 클라우드처럼 모든 것을 처리할 수는 없지만, 목적에 맞는 기능만 처리하면 되므로 기기에 큰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점
우선 인터넷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거나, 해외에서 급하게 통역이 필요할 때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무엇보다 큰 장점입니다. 그리고 응답시간도 빠릅니다.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기에 지연 시간이 사라져 실시간 통역이 가능하며, 별도의 외부 서버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사항이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없습니다.
또한 온디바이스 AI가 사용자의 생활 방식 정보를 학습하고 처리하므로 맞춤형 개인 비서 역할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단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다면, 제한된 데이터로만 처리되므로 날씨, 속보, 뉴스 등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제약이 있으며, AI 모델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하드웨어가 필요하여 저사양 기기에서는 제한적인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활용 범위
갤럭시 S24에만 AI가 탑재된 것은 아닙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북 4, LG 그램 제품에도 AI 기능을 탑재하여 출시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공개한 서피스 랩톱 고3 노트북은 영상과 이미지 생성에 최적화된 AI 기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전제품에도 AI 기능이 탑재된 제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집 안 환경과 필요에 따라 AI가 스스로 제품 작동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아마존은 알렉사에 생성형 AI 기능을 추가하였고, 메타는 ‘레이밴 메타’ 스마트 안경에 AI 비서를 탑재하였습니다.
이제는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