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라는 스포츠는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지만, 최근 국내 프로 야구 열풍의 핵심은 여성 팬들입니다. 그리고 초등학교 학부모 모임엔 30대부터 50대까지 연령대가 다양하고, 1,000억 원대 자산가도 천원의 행복을 찾아 다이소에 가는데, 이런 경향을 ‘옴니보어’로 정의했습니다.

2025년 핵심 키워드 옴니보어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트렌드 코리아 2025’ 출간 간담회에서 ‘옴니보어’를 2025년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는 핵심 키워드로 전망했습니다. ‘잡식성’을 뜻하는 옴니보어는 문화적 취향이 다양한 사람을 가리키는 사회학 용어로, 소비자 집단의 특성을 연령, 소득, 성별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무너지고, 점차 개인의 취향과 스타일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2025년 소비 트렌드를 상징하는 가장 논쟁적인 키워드는 ‘#아보하’를 꼽았습니다. 특이한 점은 ‘아주 보통의 하루’의 줄임말 앞에 SNS의 해시태그(#)를 붙였는데, 특별히 좋거나 행복한 일이 없더라도 무탈하고 평범한 하루에 만족하는 삶의 태도를 의미합니다.
김난도 교수는 “평범한 일상을 누리는 것이 점점 힘들어진 사회상을 반영한 키워드로, 젊은이들에게 내일이 더 나아질 것이란 희망이 없어진 것 같아 우려스럽다”라고 덧붙였습니다.
2025년 트렌드
그밖에 개인 취향에 맞춰 직접 제품을 꾸미고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토핑경제’, 기계에 표정을 입히고 사람의 얼굴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 ‘페이스테크’, 세계화와 로컬화가 섞인 ‘그라데이션K’ 등을 2025년 트렌드로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