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진짜 실력은 겨울에 가려진다.

전기차 성능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핵심 지표이며 차량에 따라 다르지만, 겨울철 주행거리가 여름철 수준으로 유지되는 차량도 있지만 배터리 성능 하락으로 60%가량 주행거리가 낮아지는 차량도 있습니다. 그래서 진짜 실력은 겨울에 가려집니다.


전기차 겨울철 주행거리 하락 이유

배터리 내 리튬 이온의 이동이 둔해지며 성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는 자동차 업체 기술 수준 등에 따라 감소 폭은 다릅니다.

환경부 자료를 기준으로 국내 판매 중인 보조금 지급 대상인 8,500만 원 이하 전기차 33종 중 상온과 저온의 주행거리 차이가 가장 작은 모델은 제네시스의 G80으로 나타났습니다.

‘G80’은 영상 25℃에서 측정하는 상온 주행거리는 433km 영하 6.7℃에서 히터를 최대로 작동한 후 측정하는 저온 주행거리는 411km로 측정되어 상온 대비 저온 주행거리 비율이 94.9%에 달했습니다.

측정 모델 중 쉐보레 ‘볼트EV’와 아우디 ‘Q4 e-tron’ 전기차 모델은 각각 65.9%, 65.2%로 환경부 보조금 지급 기준인 65%를 간신히 넘을 정도의 상온과 저온의 주행거리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습니다.


사계절 효과인가?

모델별 주행거리 비교에서 현대와 기아차의 강세가 돋보였습니다. 제네시스 G80에 이어 상온 대비 저온 주행거리 비율이 높은 모델은 기아 ‘EV6(롱레인지, 후륜)’ 모델이 상온에서 483km, 저온에서 446km로 92.3%의 비율을 보였고 ‘EV6 GT’는 90.9%, ‘아이오닉5N’은 90.9%, ‘니로 플러스’는 89.8%로 상위권을 기록하였습니다.

전기차를 생각하면 먼저 떠오르는 테슬라 전기차의 상온 대비 저온 주행거리 비율은 ‘모델Y(퍼포먼스)’가 87.9%, ‘모델3(퍼포먼스)’는 86.6%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모델Y(후륜)’는 79.1%의 비율로 확인되었습니다.

벤츠의 경우에는 SUV ‘EQA’ 80.7%, ‘EQB’ 81.7% 비율을 기록했고, BMW는 전기 세단 ‘i4’가 73.6%를 나타냈습니다. 아우디 ‘Q4 e-tron’ 모델이 상온과 저온의 주행거리 차이가 높게 나왔습니다.

‘Q4 e-tron’은 상온에서 411km를 기록했지만, 저온에서 268km까지 주행거리가 감소하여 효율이 65.2%에 머물렀습니다. 환경부 보조금 지급 기준을 간신히 넘은 것입니다.

쉐보레의 ‘볼트EV’, 폭스바겐의 ‘ID.4’ 모델도 각각 65.9%, 71%의 비율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환경부는 내년 보조금 최소 지급 기준을 70%로 상향할 예정입니다. 70%를 넘지 않는 모델을 내년 구매 시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상온 대비 저온 주행거리 비율 표 모습


저온에 강한 이유는?

수입차와 비교하여 현대·기아차의 저온 주행거리가 덜 줄어든 것은 열 관리 기술 때문입니다. 현대·기아차는 전기 모터나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을 내부 난방에 활용하는 ‘히트 펌프’를 달고 있습니다.

테슬라 자동차에도 이 장치가 달려 있지만 열 회수 측면에서는 현대·기아차 장치의 효율이 좀 더 높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모터·배터리·전장 장치에서 발생하는 각기 다른 온도의 열을 차량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흡수해 활용합니다.

히트 펌프가 없는 전기차를 구매한 고객 중엔 ‘무시동 히터’를 직접 구매해 장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유나 등유로 연소하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 차량 내부 난방을 하는 것입니다.

무시동 히터를 사용하면 전기차 히터를 그냥 사용할 때보다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주행거리 감소가 덜 하게 됩니다. 자동차 커뮤니티, 유튜브 등에는 이를 설치하는 광고와 소비자의 문의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전기차 무시동 히터 안전한가?

무시동 히터는 편의 장치로 분류되어 불법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고 차량에 경유나 등유를 싣고 다닌다는 점에서 화재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기차는 배터리 셀에 불이 붙으면 단기간 열이 치솟는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하여 화재에 취약하고 진화가 어려워 사고 시 피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2022년 6월 폐차장에 방치됐던 테슬라 자동차가 자동 발화하여 엄청난 물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한 사건이 있습니다. 테슬라 ‘모델 S’ 승용차가 자동 발화하여 화염에 휩싸이는 사고로 진화에 나섰지만 불을 끄려고 물을 퍼부을 때마다 오히려 배터리가 재점화되었습니다.

결국 소방관들은 땅에 구덩이를 파고 물을 채워 테슬라 배터리를 통째로 침수시키는 방법으로 1시간 만에 겨우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진화에 사용된 물은 4,500갤런으로 이 양은 건물 한 채를 진화하는 데 쓰이는 물의 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의 화재 시 3,000도 이상의 열이 발생하며 일산화탄소, 사이안화수소 같은 치명적 독성가스를 포함해 100가지가 넘는 유기 화합 물질이 발생합니다.

내연기관차의 화재는 물을 뿌려 진압이 가능하지만 배터리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열 폭주’ 현상으로 진화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무시동 히터 장착이 법으로 설치 반대를 강제하기 어렵지만 차주분들도 전기차의 이러한 위험성을 알고 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로그 더 보기

제네시스 G80 ELECTRIFI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