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유료 버전 장점과 한계점, 추천 작업

2022년 말 전 세계를 강타한 챗GPT 출시 이후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AI 서비스로는 챗GPT, 퍼플렉시티(Perplexity), 딥시크(DeepSeek) 등이 있는데, 각각의 장점과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한 가지 서비스만 활용하는 것은 다소 아쉬운 선택일 수 있습니다.


챗GPT 유료(GPT-4o(옴니), o1, o3 mini)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어 각 서비스별 특징을 잘 파악한 다음 사용자의 업무나 목적에 따라 그때그때 최적의 서비스를 선택하면 업무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기에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작업에 어떤 생성형 AI를 선택하면 좋을 지 알려드립니다.

챗GPT Plus 요금제는 월 20달러(약 3만 원)로 구독할 수 있는데, 유료 구독자는 GPT-4o, o1, o3 mini 등 오픈AI의 다양한 언어 모델을 선택해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GPT-4o을 활용하면 이미지 생성, 고급 데이터 분석 기능을 한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개인과 회사에서 제작한 GPT를 활용할 수 있고, 나만의 커스텀 챗봇인 GPT를 직접 만들어 수익화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카메라를 챗GPT와 함께 보면서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라이브 카메라 기능도 유료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o1, o3 mini는 추론 모델로 수학, 과학 문제 풀이 및 코딩, 데이터 분석 등 논리적 추론이 필요한 작업에서 일반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한계점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유료 챗GPT에도 한계점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엑셀, 워드 등 Microsoft 365 앱(구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구글의 다양한 서비스 등과 연동해 편리하게 작업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만약 Microsoft 365 앱을 자주 사용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MS Copilot)을, 구글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면 구글의 제미나이(Gemini)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작업 추천

이미지 생성 작업 및 이미지를 업로드해 분석하는 작업에는 유료 챗GPT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는 사용자도 광고 이미지를 제작하거나 동화 삽화를 그리는 등 자유롭게 고품질의 그림을 생성해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유료 사용자는 나만의 커스텀 챗봇을 개발하거나 다양한 GPT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o1과 같은 추론 모델을 이용하면 문서를 업로드해 요약하도록 하거나 대량의 데이터에서 경향성을 찾는 등 고급 데이터 분석 작업을 요청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코딩 작업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홈페이지 또는 앱 개발을 위해 코드를 작성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챗GPT 무료 버전 장점과 한계점, 추천 작업

퍼플렉시티 AI 장점과 한계점, 추천 작업

딥시크 장점과 한계점, 추천 작업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