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웨이즈 워드프레스 만들기

필자의 블로그를 찾는 분 중 가끔 필자의 워드프레스 플랫폼과 테마를 묻곤 하는데, 매번 설명해 드리는 것도 한계가 있어, 필자가 사용하는 클라우드웨이즈 플랫폼에서 서버 선택과 워드프레스 설치, 테마, 플러그인을 알려드립니다.


클라우드웨이즈 워드프레스 설치

필자가 운영하는 워드프레스는 클라우드웨이즈 플랫폼을 이용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플랫폼이 있지만, 기본 3만 원대의 가격에 50GB 이상의 서버 용량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차피 워드프레스만 이용하지만,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다 보면 더 이상 네이버, 티스토리 등의 블로그를 활용하지 않게 되어 추가로 워드프레스를 만드는 일이 있어, 넉넉한 용량과 빠른 속도를 보이고,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는 점도 사용 이유입니다.

생성

우선, 클라우드웨이즈로 접속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홈페이지 화면

우선 시작하시기 전에, 이것 하나만큼은 아셔야 합니다. 유료 사이트이기 때문에, 결제가 되지 않으면 본인이 운영하던 블로그는 어느 날 사라질 수 있습니다. 물론 자동 백업이 되기 때문에, 복원할 수 있지만, 그만큼 불이익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처음 3일간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니, 정말 본인이 끝까지 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을 때만 시작하세요, 필자는 그냥 시작하고 확신을 가지는 이상한 성향이 있으므로, 지금껏 유지하고 있습니다.

계정 만들기

계정을 생성해야 합니다. 영문 이름과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생성할 수 있지만, 필자는 구글 계정으로 한 번에 생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구글 애드센스를 위해서도 구글 계정이 필요하니 이번에 만드시는 것도 권장합니다.

서버 선택

계정을 생성하셨다면, 우선 서버를 선택하게 됩니다. 필자가 시작했을 땐 Vultr 서버는 없었는데, Vultr 서버가 ‘서울’을 선택할 수 있어 추천하는 서버이며, 만약 Vultr 서버가 없다면, ‘디지털오션’ 서버를 선택해 본인의 지역과 가까운 지역을 선택하면 되고, 한국이라면 위치를 ‘싱가포르’로 선택하면 됩니다.

Vultr 서버가 동일 조건에서 디지털오션 서버보다 2달러 정보 비싸지만, 서버 용량을 60GB 이상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이름과 서버 이름, 프로젝트 이름은 임의로 작성하셔도 나중에 수정할 수 있으니, 편하게 작성하세요.

다른 서버는 비용 부담이 있어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서버 용량은 한번 선택하면 줄일 수 없으니, 처음에는 RAM 2GB부터 시작해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개인 인증이 필요합니다.

개인 인증

이 과정을 진행하지 않으면, ‘Launch Now’가 활성화되지 않으니, 먼저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생성을 누르셨으면, 자동으로 서버에 워드프레스가 설치되기 시작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잠시 기다리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완료

화면 좌측 메뉴바에서 ‘My Applications’를 선택하면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워드프레스가 표시되며,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관리자 모드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클라우드웨이즈 워드프레스 관리자 모드

빨간 상자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면 웹사이트 페이지가 하나 나오는데, 이 페이지가 누구나 볼 수 있는 워드프레스 생성이 완료된 것입니다. 다시 관리자 모드에 보면 ‘Admin Panel’에 있는 ‘Username’과 ‘Password’가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입니다.

생성된 웹사이트의 인터넷 주소는 클라우드웨이즈 하위 도메인 개념으로 이 상태에선 외부 노출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인터넷 주소인 도메인 주소를 만들어야 합니다.

도메인 설정하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