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싱버그, 인체에 치명적인 샤가스병 원인

키싱버그(kissing bugs)라는 별칭을 가진 이 곤충은 흡혈 빈대의 일종입니다. 이 곤충 자체는 사람에게 위협이 되지 않지만, 이 곤충이 가지고 있는 기생충에 의해 샤가스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키싱버그,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키싱버그(kissing bugs)

정확한 이름은 ‘트리아토민(triatomine bugs)’으로 중남미 지역에 분포된 흡혈 빈대의 일종으로 미국에서는 1940년대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키싱버그는 야행성이며 흡혈로 생존을 유지합니다. 사람, 개 등의 포유류를 흡혈하며 진드기처럼 계속해서 붙어 있진 않습니다. 주로 눈, 코, 입을 물어 키싱버그라 불립니다.

작은 타원형 알에서 부화하며 성체가 되기까지 5번의 탈피를 거치게 됩니다. 암수의 구분은 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암컷은 꼬리가 뾰족하지만, 수컷은 둥근 모양을 가집니다.

키싱버그 성체 과정 및 암수 모습


성체의 경우 길이는 약 1.25cm~2.5cm이며 최대 2년까지 생존합니다.

미국에서는 29개 주에서 키싱버그가 발견되었으며 지금까지 11가지 종류가 보고되었습니다. 그중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는 가장 다양한 종류의 키싱버그가 발견되었습니다.

키싱버그가 무서운 점은 벌레 자체가 아니라 기생충을 옮기는 매개체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생충 이름은 ‘트라이파노소마 크루지(Trypanosoma cruzi)’이며 샤가스병의 원인이 됩니다.


트라이파노소마 크루지 기생충

키싱버그를 2012년부터 추적 관찰해 온 연구진에 의하면 키싱버그의 55%는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생충이 샤가스병을 유발하며 포유류에게서 발병합니다.

‘Trypanosoma cruzi’는 줄여서 ‘T.cruzi’라고 불립니다.

키싱버그는 포유류를 흡혈하는 동안 내장으로 옮겨진 기생충을 배설물로 몸 밖으로 배출합니다. 이 기생충은 키싱버그 타액이나 입에 있는 것이 아닌 배설물에 존재합니다.

사람이나 동물이 자는 동안 배설물이 있는 물린 부위를 긁게 되면 상처 부위가 T.cruzi 기생충에 감염되어 샤가스병에 걸리게 됩니다.

긁지 않더라도 배설물을 만진 손으로 눈이나 입을 만지게 되면 몸 안으로 들어가 감염될 수 있으며, 일부 강아지는 키싱버그를 먹음으로써 감염될 수 있습니다.

샤가스병은 전염성이 있습니다. 샤가스병을 앓고 있는 산모가 아기에서 샤가스병을 전염시킬 수 있으며 혈액이나 장기 기증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음식이나 음료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샤가스병(Chagas disease)

미국의 샤가스병 환자는 30만 명이라고 미국 심장협회의 보고가 있지만, 100만 명 이상 감염되었을 거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샤가스병의 감염 증상은 크게 두 가지 범위로 나눠집니다. 첫 번째는 ‘acute phase’, 두 번째는 ‘chonic phase’입니다.

첫 번째 급성기의 증상은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발열, 피로, 몸살, 두통, 설사, 구토 등과 같은 증상을 경험하며 이 증상은 30%~40% 환자의 비율로 나타납니다.

두 번째 만성 단계는 사람에게 심장 문제나 기타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만성 단계가 진행되는 것은 수년 또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현재 샤가스병 예방 백신은 없습니다.


야생동물 주의

T.cruzi 기생충은 다양한 종류의 야생 동물을 감염시키며, 이들의 피를 먹은 키싱버그도 감염됩니다. T.cruzi 기생충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진 야생 동물은 쥐, 너구리, 코요테 등 야생 동물입니다.

새와 파충류는 샤가스병에 걸리진 않지만, 키싱버그가 흡혈할 수 있는 만큼 기생충을 옮길 수는 있습니다.


개 관리

개가 샤가스병에 걸리면 심장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개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증상으로는 심장 문제, 위장 문제, 급사(急死) 등이 있습니다.

개의 샤가스병 치료 방법은 많지 않으며, 예방 백신도 없습니다.


키싱버그 예방

키싱버그 침입을 막아 가족과 동물의 샤가스병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

  1. 키싱버그가 집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과 문턱 사이의 틈새를 막고 창문 방충망이 훼손되었는지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방충망이 없다면 창문을 닫으세요.
  2. 야생동물이 집 주변에 다가오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야생동물은 키싱버그의 혈액 공급원이 될 수 있습니다.
  3. 야간에는 집 외부 조명을 끄세요. 키싱버그가 빛을 향해 날아가 집 안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불을 끄는 것만으로 키싱버그의 접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만약 집안에서 키싱버그를 발견하였다면 전문 방역 방제 회사에 요청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키싱버그 마치며

개를 키우는 집은 키싱버그를 더욱 조심하셔야 합니다. 개의 열기와 냄새에 끌려 키싱버그가 나타날 수 있으며, 개집 안에서 키싱버그를 먹을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해 드린 내용이 키싱버그 예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블로그 더 보기

사단법인 한국방역협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