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말 전 세계를 강타한 챗GPT 출시 이후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AI 서비스로는 챗GPT, 퍼플렉시티(Perplexity), 딥시크(DeepSeek) 등이 있는데, 각각의 장점과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한 가지 서비스만 활용하는 것은 다소 아쉬운 선택일 수 있습니다.
퍼플렉시티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어 각 서비스별 특징을 잘 파악한 다음 사용자의 업무나 목적에 따라 그때그때 최적의 서비스를 선택하면 업무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기에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작업에 어떤 생성형 AI를 선택하면 좋을 지 알려드립니다.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웹 검색 기능에 특화된 AI 서비스입니다. 전통적인 검색엔진은 사용자가 키워드 조합으로 검색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때까지 탐색해야 한다면 퍼플렉시티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대화하듯이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를 모두 담아낼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AI가 대신 찾아 제공해 사용자 친화적입니다.
또한 분야별로 출처를 직접 선택할 수 있어 허위 정보 생성의 우려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한계점
퍼플렉시티는 타 AI에 비해 대화 연결성이 다소 부족해 대화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대화가 길어지면 바로 앞의 대화를 기억하지 못하고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또한 최신 언어 모델을 선택해 요청하더라도 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퍼플렉시티를 검색 기능 외 다양한 작업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챗GPT는 캔버스 기능을 통해 코드를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퍼플렉시티로 GPT-4o를 선택하더라도 코드를 실행하는 기능은 수행하지 못합니다.
작업 추천
최신 정보를 많은 출처에서 검색할 수 있고 출처 사이트도 투명하게 밝혀 신뢰성을 높였으므로 실시간 정보 검색에 유용합니다. 시장 동향을 분석하거나 이미지를 제공해 최신 트렌드를 검색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하기 적합합니다.
게재된 학술 논문에서 검색하도록 ‘학문 모드’를 선택해 선행 연구 논문을 조사하거나 ‘비디오 모드’를 선택해 유튜브 영상을 빠르게 찾기에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