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 말이면 세계 여러 곳에서 핼러윈 축제가 벌어집니다. 서양의 핼러윈 축제는 아시아 문화권 사람들도 함께 즐기는 축제인데요. 한국에서 핼러윈 축제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아픔이 되어 버렸습니다. 핼러윈 유래 및 의미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핼러윈 유래
핼러윈 유래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기원전 500년 고대 켈트족의 문화와 서기 800년 이후 로마 제국의 역사를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원전 500년 고대 켈트족 핼러윈 유래
핼러윈 유래 관련하여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원전 500년 고대 켈트족의 제사 문화를 살펴봐야 합니다. 켈트족은 1년의 마지막 날을 10월 31일로 정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날이 추수가 끝나고,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켈트족은 겨울이 찾아 오는 날 유령도 함께 찾아 온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유령들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귀신 복장을 하고 큰 소리를 내며 야외를 돌아다녀야 유령들도 그들을 유령으로 착각하여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또한, 음식은 집 밖에 걸어두고 식탁에는 빈 자리를 마련하여, 악의를 품은 유령은 집 밖의 음식으로 달래고 사랑했던 사람들은 집안으로 들어오길 바라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서기 800년 이후 로마 제국 핼러윈 유래
기독교에서도 핼러윈과 비슷한 날이 있는데, 모든 성인의 날(All Saints’ Day)이라 부르는 날로 하느님과 함께 영광을 누린 성인들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즉, 그리스도교 신자의 죽은 자들을 기념하는 날로 매년 11월 1일입니다. ‘제성첨례일’ 또는 ‘만성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서양 기독교에서는 11월 1일, 동양 기독교에서는 성령 강림 대축일 이후 첫 번째 일요일을 기념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서기 800년 이후 로마 제국의 승리로 많은 켈트족의 문화가 로마의 문화와 섞이게 되었는데, 이때 켈트족의 10월 31일 문화가 로마의 그리스도교 문화와 섞이면서 만성절 전날 밤 행사로 이뤄지게 되었습니다.
고대 영어에서 성인(Saint)을 지칭하는 단어는 ‘Hallow’입니다. 서양 기독교에서 11월 1일 열리는 미사를 ‘모든 성인을 기리는 날’이라는 의미로 ‘All Hallows’ mass’ 그리고 그 전날을 ‘All Hallows’ e’en’ 이라고 명칭 하였습니다.
여기서 ‘e’en’은 ‘저녁’을 의미하며 전날을 의미하는 ‘eve’의 약칭으로 ‘모든 성인의 날을 기념하는 전야제’를 의미하는 ‘All Hallows’ e’en’이 점차 축약되어 현재의 ‘Halloween’이 되었습니다.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11월 2일은 모든 죽은 이를 추모하는 ‘위령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기독교 문화권 안에서는 ‘핼러윈’보다 ‘만성절’이 더 특별한 날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잭 오 랜턴(Jack o lantern) 유래
한국에서 ‘늙은호박’, ‘맷돌호박’이라 부르고 있는 ‘청둥호박’은 서양 문화권의 핼로윈에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청둥호박 속을 파내고, 청둥호박 겉을 무서운 얼굴로 표현하며, 안에 불을 밝히는 잭오랜턴(일명, 핼러윈 호박)은 그리 길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전 아일랜드에서는 청둥호박이 아니라 순무, 감자, 비트를 이용하여 지금의 청둥호박처럼 사용하였으며, 유령의 접근을 막기 위해 집 밖에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하였습니다.
18세기 신대륙에 도착한 아일랜드 이민자들은 순무, 감자, 비트를 구하기 어려워 쉽게 구할 수 있는 청둥호박을 사용한 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잭오랜턴 역시도 악령의 접근을 막고 사랑했던 사람들이 집에 들어오길 염원하는 마음으로 행해졌습니다.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
서양 문화권 핼러윈에는 유령 복장을 한 아이들이 집마다 돌아다니며 “트릭 오어 트릿”을 외치면서 사탕을 받는 문화가 있습니다.
‘트릭 오어 트릿’은 중세 서양에서 가난한 사람들이 부잣집에서 ‘Soul Cake’를 얻어 오는 풍습에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과자나 케익을 얻고 부잣집에 들어가 그 집에서 돌아가신 사람들을 위해 기도를 해주는 문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핼러윈 유래 및 의미를 마치며
2022년 이태원 핼러윈 참사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아픔으로 기억되고 있는 날입니다.
하지만, 핼러윈은 어떤 이들은 그저 즐겁기만 한 날일지도 모릅니다.
한 번쯤은 핼러윈 의미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보고, 돌아가신 분들을 기리는 마음도 가지면 좋겠습니다.
핼러윈 유래 및 의미를 살펴보면, 핼러윈은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한 날입니다. 그저 파티만 즐기는 날이 아님을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